임꺽정 (1996년 드라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6년 드라마 《임꺽정》은 SBS에서 1996년 11월부터 1997년 4월까지 총 44부작으로 방영되었다. 백정 출신 임꺽정의 성장 과정을 중심으로, 다양한 인물들과의 관계, 시대상을 다루며, 선정성 논란과 초상권 침해 논란이 있었다. 정흥채, 차광수, 김원희 등이 출연했으며, 정흥채는 SBS 연기대상 신인상과 백상예술대상 신인연기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임꺽정을 소재로 한 작품 - 임꺽정 (소설)
홍명희가 1928년부터 조선일보에 연재한 미완성 대하 역사소설 《임꺽정》은 봉단편, 피장편, 양반편, 의형제편, 화적편의 다섯 편으로 구성되어 임꺽정의 활약과 그를 중심으로 한 두령들의 이야기, 당시 사회상을 폭넓게 그리고 있다. - 유동윤 시나리오 작품 - 여인천하 (드라마)
《여인천하》는 조선 중종 시대를 배경으로 정난정, 문정왕후, 윤원형 등의 권력 투쟁과 몰락을 그린 SBS 대하 사극으로,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인기를 얻었으나 선정성, 폭력성 논란과 잦은 연장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 유동윤 시나리오 작품 - 대왕의 꿈
《대왕의 꿈》은 신라의 태종 무열왕 김춘추를 중심으로 삼국 통일 과정을 그린 드라마로, 김춘추, 김유신, 선덕여왕 등 주요 인물들의 활약과 신라 내부의 갈등, 삼국 간의 전쟁, 나당전쟁 등을 다루고 있다. - 김원석 시나리오 작품 - 행촌 아파트
행촌 아파트는 강남길, 양미경, 김상순 등 다수의 출연진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이다. - 김원석 시나리오 작품 - 당신의 축배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는 드라마인 당신의 축배는 김무생, 김혜자, 김희애, 정한용, 김형자, 박영규, 김동현, 최진실 등이 주요 배역을 맡고 최화정, 김영란, 한인수, 김수미, 나문희 등이 조연으로 출연한다.
임꺽정 (1996년 드라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방송명 | 임꺽정 |
장르 | 드라마 |
방송 채널 | SBS |
방송 시간 | 매주 토요일 ~ 일요일 오후 8시 50분 ~ 오후 9시 50분 |
방송 분량 | 60분 |
방송 기간 | 1996년 11월 10일 ~ 1997년 4월 6일 |
방송 횟수 | 44부작 |
제작진 | |
기획 | SBS 드라마본부 |
연출 | 김한영 |
원작 | 홍명희의 소설 《임꺽정》 |
각본 | 김원석, 유동윤 |
출연 | |
출연자 | 정흥채, 차광수, 정규수 외 |
음향 | |
음성 | 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아날로그) |
고화질 방송 여부 | 아날로그 제작 · 방송 |
기타 |
2. 등장인물
- 김학철 : 보우 역
- 김원희 : 황운총 역
- 전역산 : 임백손 역
- 정진 : 잔나비 역
- 국수호 : 서경덕 역
- 최주현 : 황진이 역
- 박근형 : 윤원형 역
- 박선영 : 정난정 역
- 박인환 : 임돌이 역
- 권은아 : 임돌이 후처 역
- 최주봉 : 한온 역
- 이세창 : 한호 역
- 최성국 : 기원을 주름잡던 기둥서방 역
- 김흥기 : 남치근 역
- 이다빈 : 임꺽정 딸 역
- 전무송 : 서림 역
- 윤유선 : 섭섭이 역
- 김병세 : 이교리 역
- 전주헌 : 팔삭동이 역
- 송채환 : 소홍 역
- 윤문식 : 노밤 역
- 김주영 : 김륜 역
- 정승호 : 곽능통 역
- 김청 : 문정왕후 윤씨 역
- 유인촌 : 연산군 역
- 최상훈 : 중종 역
- 이효정 : 명종 역
- 정태우 : 이순신 역
- 최지숙 : 귀련 역
- 한경선 : 초향 역
- 옥부용 : 황지온
2. 1. 주요 인물
- 정흥채 : 임꺽정 역
- 차광수 : 이봉학 역
- 정규수 : 박유복 역 (젊은 시절 : 문혁)
- 문용민 : 곽오주 역
- 이기영 : 배돌석 역
- 손호균 : 길막봉 역
- 김홍표 : 황천왕동 역
- 임현식 : 오가 역
- 이정길 : 가파치 양주팔 역
- 김학철 : 보우 역
- 김원희 : 황운총 역
- 전역산 : 임백손 역
- 정진 : 잔나비 역
- 국수호 : 서경덕 역
- 최주현 : 황진이 역
- 박근형 : 윤원형 역
- 박선영 : 정난정 역
- 박인환 : 임돌이 역
- 권은아 : 임돌이 후처 역
- 최주봉 : 한온 역
- 이세창 : 한호 역
- 최성국 : 기원을 주름잡던 기둥서방 역
- 김흥기 : 남치근 역
- 이다빈 : 임꺽정 딸 역
- 전무송 : 서림 역
- 윤유선 : 섭섭이 역
- 김병세 : 이교리 역
- 전주헌 : 팔삭동이 역
- 송채환 : 소홍 역
- 윤문식 : 노밤 역
- 김주영 : 김륜 역
- 정승호 : 곽능통 역
- 김청 : 문정왕후 윤씨 역
- 유인촌 : 연산군 역
- 최상훈 : 중종 역
- 이효정 : 명종 역
- 정태우 : 이순신 역
- 최지숙 : 귀련 역
- 한경선 : 초향 역
- 옥부용 : 황지온
2. 2. 임꺽정의 무리
2. 3. 그 외 인물
- 정규수 : 박유복 역 (젊은 시절 : 문혁)
- 문용민 : 곽오주 역
- 이기영 : 배돌석 역
- 손호균 : 길막봉 역
- 김홍표 : 황천왕동 역
- 임현식 : 오가 역
- 이정길 : 가파치 양주팔 역
- 김학철 : 보우 역
- 김원희 : 황운총 역
- 전역산 : 임백손 역
- 정진 : 잔나비 역
- 국수호 : 서경덕 역
- 최주현 : 황진이 역
- 박근형 : 윤원형 역
- 박선영 : 정난정 역
- 박인환 : 임돌이 역
- 권은아 : 임돌이 후처 역
- 최주봉 : 한온 역
- 이세창 : 한호 역
- 최성국 : 기원을 주름잡던 기둥서방 역
- 김흥기 : 남치근 역
- 이다빈 : 임꺽정 딸 역
- 전무송 : 서림 역
- 윤유선 : 섭섭이 역
- 김병세 : 이교리 역
- 전주헌 : 팔삭동이 역
- 송채환 : 소홍 역
- 윤문식 : 노밤 역
- 김주영 : 김륜 역
- 정승호 : 곽능통 역
- 김청 : 문정왕후 윤씨 역
- 유인촌 : 연산군 역
- 최상훈 : 중종 역
- 이효정 : 명종 역
- 정태우 : 이순신 역
- 최지숙 : 귀련 역
- 한경선 : 초향 역
- 옥부용 : 황지온
3. 방영 목록
드라마 임꺽정은 1996년 11월 10일 1화 '봉단이'를 시작으로 1997년 4월 7일 44화 '구월산의 메아리'를 마지막으로 종영되었다. 각 회차 제목은 다음과 같다.
: 1화 봉단이, 2화 광풍, 3화 백정의 아들, 4화 혜화문 잦바지, 5화 삼형제, 6화 주정뱅이 스승님, 7화 이나라 이강산, 8화 백두산 야생마, 9화 난세, 10화 여인천하, 11화 사랑, 12화 사나이 눈물, 13화 천궁, 14화 표창의 명수 박유복(전편), 15화 표창의 명수 박유복(후편), 16화 쇠도리깨 도적 곽오주(전편), 17화 쇠도리깨 도적 곽오주(후편), 18화 소금장수 길막봉, 19화 축지법도사 황천막등, 20화 돌팔매의 귀신 배돌석(전편), 21화 돌팔매의 귀신 배돌석(후편), 22화 신궁 이봉학, 23화 천하모사 서림(전편), 24화 천하모사 서림(후편), 25화 백정일가, 26화 입산, 27화 청석골, 28화 칠형제, 29화 결희, 30화 거짓말쟁이 노밤이, 31화 영웅호색, 32화 무주공산, 33화 대두령, 34화 산채, 35화 황해도땅, 36화 암행어사, 37화 올가미, 38화 복수, 39화 의적, 40화 배신, 41화 평산땅, 42화 토포사, 43화 형제여, 44화 구월산의 메아리
3. 1. 1996년
회차 | 제목 | 방영일 |
---|---|---|
1 | 봉단이 | 1996년 11월 10일 |
2 | 광풍 | 1996년 11월 11일 |
3 | 백정의 아들 | 1996년 11월 17일 |
4 | 혜화문 잦바지 | 1996년 11월 18일 |
5 | 삼형제 | 1996년 11월 24일 |
6 | 주정뱅이 스승님 | 1996년 11월 25일 |
7 | 이나라 이강산 | 1996년 12월 1일 |
8 | 백두산 야생마 | 1996년 12월 2일 |
9 | 난세 | 1996년 12월 8일 |
10 | 여인천하 | 1996년 12월 9일 |
11 | 사랑 | 1996년 12월 15일 |
12 | 사나이 눈물 | 1996년 12월 16일 |
13 | 천궁 | 1996년 12월 22일 |
14 | 표창의 명수 박유복(전편) | 1996년 12월 23일 |
15 | 표창의 명수 박유복(후편) | 1996년 12월 29일 |
16 | 쇠도리깨 도적 곽오주(전편) | 1996년 12월 30일 |
17 | 쇠도리깨 도적 곽오주(후편) | 1997년 1월 5일 |
18 | 소금장수 길막봉 | 1997년 1월 6일 |
19 | 축지법도사 황천막등 | 1997년 1월 12일 |
20 | 돌팔매의 귀신 배돌석(전편) | 1997년 1월 13일 |
21 | 돌팔매의 귀신 배돌석(후편) | 1997년 1월 19일 |
22 | 신궁 이봉학 | 1997년 1월 20일 |
23 | 천하모사 서림(전편) | 1997년 1월 26일 |
24 | 천하모사 서림(후편) | 1997년 1월 27일 |
25 | 백정일가 | 1997년 2월 2일 |
26 | 입산 | 1997년 2월 3일 |
27 | 청석골 | 1997년 2월 9일 |
28 | 칠형제 | 1997년 2월 10일 |
29 | 결희 | 1997년 2월 16일 |
30 | 거짓말쟁이 노밤이 | 1997년 2월 17일 |
31 | 영웅호색 | 1997년 2월 23일 |
32 | 무주공산 | 1997년 2월 24일 |
33 | 대두령 | 1997년 3월 2일 |
34 | 산채 | 1997년 3월 3일 |
35 | 황해도땅 | 1997년 3월 9일 |
36 | 암행어사 | 1997년 3월 10일 |
37 | 올가미 | 1997년 3월 16일 |
38 | 복수 | 1997년 3월 17일 |
39 | 의적 | 1997년 3월 23일 |
40 | 배신 | 1997년 3월 24일 |
41 | 평산땅 | 1997년 3월 30일 |
42 | 토포사 | 1997년 3월 31일 |
43 | 형제여 | 1997년 4월 6일 |
44 | 구월산의 메아리(최종회) | 1997년 4월 7일 |
3. 2. 1997년
1997년에는 35회(황해도땅)부터 44회(구월산의 메아리, 최종회)까지 방영되었다.회차 | 방영 제목 |
---|---|
35회 | 황해도땅 |
36회 | 암행어사 |
37회 | 올가미 |
38회 | 복수 |
39회 | 의적 |
40회 | 배신 |
41회 | 평산땅 |
42회 | 토포사 |
43회 | 형제여 |
44회 | 구월산의 메아리(최종회) |
4. 제작진
- 연출: 김한영 [5]
- 극본: 김원석 [4]
5. 편성 및 연장
1996년 11월 9일 오후 10시 55분에 〈임꺽정 D-1〉이 편성되었다.[2] 1996년 11월 10일에는 2회 연속 방영되었다.[2] 당초 36부작으로 기획되었으나 후속으로 방영될 《주간 단막극장》의 편성 문제로 인해 8부 늘린 44부작으로 연장하였다.[2]
6. 수상 경력
연도 | 상 | 수상자(작) |
---|---|---|
1996년 | SBS 연기대상 남자 신인상 | 정흥채 |
1996년 | SBS 연기대상 여자 인기상 | 김원희 |
1997년 | 제33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남자 신인연기상 | 정흥채 |
1997년 | 제33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 인기상 | 김원희 |
1997년 | 제24회 한국방송대상 TV드라마부문 최우수작품상 | 임꺽정 |
7. 논란 및 비판
임꺽정 배역에는 최민수, 유동근, 김영철 등이 물망에 올랐으나[3] 정흥채가 맡았다. 이윤택이 각색을 맡았지만 작품 해석 차이로 김원석 작가로 교체되었고[4], 김원석 작가는 당시 《원지동 블루스》를 집필 중이었다. 김한영 PD는 이 작품으로 사극 연출에 도전했다.[5]
7. 1. 선정성 논란
임꺽정을 비롯한 여섯 두령의 사랑 이야기를 다루면서 정사 장면 등이 자주 나왔는데, 이야기가 원작에 못 미치며 연애담으로 그쳤다는 지적을 받았다.[6]7. 2. 초상권 침해 논란
1997년 3월 8일 보령제약 측이 해당 작품에 출연한 본인(정흥채)의 모습을 목탄 캐리커처로 그린 전면광고를 내보내 초상권을 침해했고, 이에 정흥채는 보령제약을 상대로 2억원의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서울지방법원에 냈다.[7]8. 기타
최민수, 유동근, 김영철 등이 임꺽정 역으로 물망에 올랐다.[3] 이윤택에게 각색을 맡겼지만 "작품해석상 차이"를 이유로 김원석 작가로 교체되었는데, 김원석 작가는 이미 KBS 2TV 일일극 《원지동 블루스》를 집필하고 있었다.[4] 김한영 PD는 해당 작품을 통해 사극 연출에 도전했다.[5]
임꺽정을 비롯한 여섯 두령의 사랑 이야기를 다루면서 정사 장면 등이 자주 나왔는데, 이야기가 원작에 미치지 못하고 연애담으로 그쳤다는 지적을 받았다.[6] 정흥채는 해당 작품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CF 요청이 왔으나 이미지 관리를 위해 출연을 자제했다. 그러나 보령제약 측이 해당 작품에 출연한 본인(정흥채)의 모습을 목탄 캐리커처로 그린 전면광고를 내보내 초상권을 침해했고, 이에 정흥채는 1997년 3월 8일 보령제약을 상대로 2억원의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서울지방법원에 냈다.[7]
참조
[1]
서적
임꺽정
http://book.nate.com[...]
[2]
뉴스
【연예단신】 ‘임꺽정’ 44회 연장 방영 등
http://news.chol.com[...]
경향신문
1997-01-14
[3]
뉴스
"꺽정은 어려서도 장사"소년시절役(역)들 신바람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5-08-08
[4]
뉴스
홍명희 "임꺽정" 대형드라마로 본격제작
http://news.joins.co[...]
중앙일보
1995-03-15
[5]
뉴스
[월요초대석] 올 최고드라마 선정 `임꺽정' 연출자 김한영씨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1996-12-01
[6]
뉴스
TV속 性과 폭력 ‘위험수위’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1997-02-10
[7]
뉴스
"임꺽정 얼굴값 2억원" 정흥채씨,제약사 제소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97-03-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